티스토리 뷰
1. 캡슐화
캡슐화는 객체의 속성(Variable)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장점]
▪️ 객체지향의 패러다임 중 하나인 추상화를 제공한다.
실제로 Method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외부에서는 이해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단순 호출만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 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객체 단위로 프로그램 설계가 가능하다.
▪️ 재사용성 향상
한 객체에 관련된 속성 및 Method는 모두 캡슐화의 형태로 제공됨으로, 객체의 모듈성과 응집도가 높아진다. 이를 통해서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 유지보수의 효율성 향상
▪️ 무결성 보장
보통의 캡슐화 코딩이라고 한다면, 주로 변수는 private로 선언하고, Method를 public으로 선언하는 형태를 많이 가지게 된다. 이는 객체의 무결성을 위함이다. Getter/Setter를 제외하고는 public method는 입력된 매개변수를 Validation을 한 후에 실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Validation을 통하여, 객체의 값을 바꾸거나, 값의 대한 유효성을 가질 수 있다.
2. 상속
객체지향에서의 상속은 속성의 상속이 아닌, 하위로 내려갈 수록 구체화 되는 것이다.
- 프로그램 구조에 대한 이해도 향상
- 재사용성 향상
- 확장성 향상
- 유지보수성 향상
3. 다형성
다형성은 하나의 객체가 여러 개의 형태로 변화 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객체지향에서도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다.
다형성을 하기 위해서는 오버라이딩을 통해서 가능하다.
4. 추상화
객체지향에서의 추상화는 모델링이다.
구체적으로 공통적인 부분, 또는 특정 특성을 분리해서 재조합하는 부분이 추상화이다.
다형성, 상속 모두 추상화에 속한다.
'Web 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JO JAVA란? (0) | 2022.06.03 |
---|---|
객체지향 설계 5원칙 SOLID (0) | 2022.06.03 |
[Spring] Spring Boot 개념 (0) | 2022.04.27 |
[Spring] Rest API 개념 정리 (0) | 2022.04.26 |
[Spring] MVC 프레임워크 동작 방식 (0) | 2022.04.20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