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eb 개발/Servlet

[Servlet] GET과 POST

happii 2022. 3. 26. 14:13

 

GET 방식

 

전송되는 데이터가 URL 뒤에 Query String으로 전달된다.

입력 값이 적은 경우나 데이터가 노출이 되도 문제가 없을 경우 사용한다.

 

💡 장점

- 간단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

- form tag 뿐만 아니라 직접 URL에 입력하여 전송 가능

 

💡 단점

- 데이터 양에 제한이 있다.

- (location bar(URL+parameters)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사이즈는 2kb(2048byte)로 제한된다.

 

 

 

POST 방식

 

URL과 별도로 전송된다. HTTP header 뒤 body에 입력 스트림 데이터로 전달한다.

 

💡 장점

- 데이터의 제한이 없다.

- 최소한의 보안 유지 효과를 볼 수 있다.

 

💡 단점

- 전달 데이터의 양이 같을 경우 GET 방식보다 느리다.

  (전송 패킷을 body에 데이터를 구성해야 하므로)

 

💡 코드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 post방식에서는 반드시 필요!!

 

 

 

'Web 개발 >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 Context root 변경하기  (0) 2022.03.26
[Servlet] Life-Cycle  (0) 2022.03.26
[Servlet] Servlet이란?  (0) 2022.03.23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