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Branch 확인 하기

 

1) 현재 내가 위치한 Branch 확인

현재는 main 브랜치만 존재한다. 

(main : 최초 repository 생성 후 커밋하면 자동으로 생기는 브랜치)

* 표시가 있는 브랜치가 현재 활성화된 브랜치이다.

 

2)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확인

3)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 메세지 확인

 

 

2. Branch 생성 및 이동

 

방법1-1)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명]

방법1-2) 생성한 Branch로 이동

git switch [브랜치명]

 

 

방법2) 브랜치 생성 + 이동 한번에

git switch -c [브랜치명]

 

 

방법3) 원격 브랜치와 같은 이름으로 로컬 브랜치 생성하고 이동

git switch -t origin/[원격브랜치명]

 

 

 

3. 생성한 Branch를 원격 Repository에 push 하기

현재 원격 레포지토리(github)에는 main branch 밖에 없는 상태이고,

생성한 branch로 이동하여 push를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로컬 레포지토리를 원격 레포지토리로 처음 push 할 때는

--set-upstream 옵션을 줘야한다.

그래야 tracking 정보 설정이 되어 git push만 사용해도 push가 된다.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랜치명]

 

위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줄여서도 실행 가능하다.

git push -u origin [브랜치명]

 

github 페이지로 가서 확인해보면

신규 branch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생성한 브랜치에 파일 생성 후 푸시

 git add [파일명 or 폴더명]

 

 git commit -m "커밋메세지내용"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5. Branch 삭제

1) git branch -d [브랜치명]

 

2) git branch -D [브랜치명]

merge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거나, 충돌이 해결되지 않은 브랜치는 오류메세지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 강제로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3) git push origin --delete [브랜치명]

원격 브랜치를 삭제할 경우 사용 가능하다.

'Web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깃허브 저장소에 파일 올리기  (0) 2021.12.22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